맨위로가기

내 미국 삼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 미국 삼촌은 알랭 레네가 감독하고 장 그루오가 시나리오를 쓴 1980년 프랑스 영화이다. 이 영화는 세 명의 허구적 인물이 각자의 방식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를 앙리 라보리의 이론을 바탕으로 전개한다. 영화는 1980년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으며, 제53회 아카데미상 최우수 오리지널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랭 레네 감독 영화 - 스모킹/노스모킹
    스모킹/노스모킹은 앨런 레네가 연극을 각색한 영화로, 특정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인물들의 삶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보여주며,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을 수상했다.
  • 알랭 레네 감독 영화 - 입술은 안돼요
    《입술은 안돼요》는 알랭 레네가 연출한 2003년 프랑스 뮤지컬 코미디 영화로, 1931년 동명의 오페레타를 각색하여 배우들이 립싱크로 노래하며, 부유한 파리 사교계 부인의 비밀과 관련된 인물들의 복잡한 관계를 다룬다.
  • 고몽 영화 - 바보들의 저녁식사
    1998년 프랑스에서 개봉한 코미디 영화 《바보들의 저녁식사》는 동명의 연극을 원작으로, '바보들의 만찬'에 초대할 사람을 찾는 내기에서 비롯된 소동을 그린 이야기로, 세자르 영화제에서 주요 상을 수상하고 여러 차례 리메이크되었다.
  • 고몽 영화 - 크림슨 리버
    프랑스 스릴러 영화 크림슨 리버는 장 르노와 뱅상 카셀 주연으로 프랑스 알프스 대학 도시의 연쇄 살인 사건을 수사하는 두 형사의 이야기이며, 대학의 비밀과 복수라는 주제로 세자르상 5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 1980년 영화 - 우주의 7인
    《우주의 7인》은 1980년에 개봉한 SF 영화로, 폭군 사도르에 맞서 아키르 행성을 지키기 위해 용병들을 고용하는 섀드의 이야기를 다룬다.
  • 1980년 영화 - 보통 사람들 (1980년 영화)
    1980년 개봉한 미국의 드라마 영화 《보통 사람들》은 주디스 게스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로버트 레드포드의 감독 데뷔작이며, 시카고 교외를 배경으로 아들의 죽음과 자살 시도로 고통받는 재럿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고, 도널드 서덜랜드, 메리 타일러 무어, 티모시 허튼, 주드 허쉬 등이 출연, 제53회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각색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내 미국 삼촌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내 미국 삼촌
영어 제목My American Uncle
극장 개봉 포스터 (미술: 엔키 빌랄)
장르드라마 영화
코미디 영화
언어프랑스어
제작
감독알랭 레네
각본장 그뤼오
원작앙리 라보리의 저술
제작자필리프 뒤사르
출연
주연제라르 드파르디외
니콜 가르시아
로저 피에르
기술 정보
촬영사샤 비에르니
편집알베르 주르겐손
음악아리에 지에를라트카
배급
배급사고몽
개봉
상영 시간
길이126분
수익
흥행 수익1백만 달러

2. 줄거리

2. 1. 르네 라그노

2. 2. 자닌 가르니에

2. 3. 장 르 갈

3. 등장인물


  • 제라르 드파르디외 - 르네 라그노 역
  • 니콜 가르시아 - 자닌 가르니에 역
  • 로제 피에르 - 장 르 갈 역
  • 넬리 보르조 - 아를레트 르 갈 역
  • 피에르 아르디티 - 잠보 역
  • 제라르 다르리유 - 레옹 베스트라트 역
  • 필리프 로댕바흐 - 미셸 오베르 역
  • 마리 부아 - 테레즈 라그노 역
  • 제네비에브 므니쉬 - 르네의 어머니 역
  • 앙리 라보리 - 본인 역

3. 1. 주연


  • 제라르 드파르디외 - 르네 라그노 역
  • 니콜 가르시아 - 자닌 가르니에 역
  • 로제 피에르 - 장 르 갈 역
  • 넬리 보르조 - 아를레트 르 갈 역
  • 피에르 아르디티 - 잠보 역
  • 제라르 다르리유 - 레옹 베스트라트 역
  • 필리프 로댕바흐 - 미셸 오베르 역
  • 마리 부아 - 테레즈 라그노 역
  • 제네비에브 므니쉬 - 르네의 어머니 역
  • 앙리 라보리 - 본인 역

3. 2. 조연


  • 넬리 보르게우드
  • 삐에르 아르디티
  • 제라르 다리외
  • 필립 로덴바흐
  • 제라르 드파르디외 - 르네 라그노 역
  • 니콜 가르시아 - 자닌 가르니에 역
  • 로제 피에르 - 장 르 갈 역
  • 넬리 보르조 - 아를레트 르 갈 역
  • 피에르 아르디티 - 잠보 역
  • 제라르 다르리유 - 레옹 베스트라트 역
  • 필리프 로댕바흐 - 미셸 오베르 역
  • 마리 부아 - 테레즈 라그노 역
  • 제네비에브 므니쉬 - 르네의 어머니 역
  • 앙리 라보리 - 본인 역

4. 제작 과정

알랭 레네 감독은 앙리 라보리에게 기억력 향상 제품에 대한 제약 회사의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를 함께 만들자는 제안을 받았다.[3] 이 영화는 제작되지 못했지만, 두 사람은 다큐멘터리와 픽션을 결합한 장편 영화를 만들기로 결정했다.[3] 르네는 과학적 내용이 극적으로 흥미로운 방식으로 허구적 서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라보리의 출판물을 광범위하게 읽기 시작했다.[3] 르네는 인터뷰에서 "영화나 연극은 일반적으로 등장인물이나 이야기를 통해 아이디어나 이론을 발전시키려는 욕구에서 비롯됩니다. 저는 '정반대로 하는 것도 재미있지 않을까? 이론과 허구가 화면에서 공존하도록 하는 것은 어떨까?'라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했다.[4]

시나리오 작가 장 그루오는 라보리의 모든 작품을 직접 읽고 르네와 끊임없이 논의한 뒤 허구적인 이야기를 발전시켰다.[5][3] 그 결과 라보리의 이론을 출발점으로 삼는 세 명의 허구적 인물이 각자의 방식으로 전개되는 시나리오가 완성되었다.[5][3] 시나리오를 쓰는 데는 1년이 걸렸다.[6]

르네는 또한 등장인물이 책을 읽거나 만난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는 것처럼, 유명 영화 배우들이 구현한 행동 모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흑백으로 된 오래된 영화의 발췌 장면을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추가했다. 그루오는 세 인물에 가장 적합한 배우로 다니엘 다리유, 장 마레, 장 가뱅을 선택했다.[7][8][9]

장 그루오는 앙리 라보리의 저서를 바탕으로 세 인물의 허구적 이야기를 구성했다.[5][3] 르네는 라보리에게 기억력 향상 제품에 대한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작업을 제안받았으나, 자금 지원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르네는 라보리의 출판물을 탐독하며 과학적 추론과 허구적 내러티브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론과 허구가 화면에서 공존"하는 영화를 구상했다.[4] 시나리오를 쓰는 데는 1년이 걸렸다.[6]

알랭 르네 감독은 등장인물이 유명 영화 배우의 행동 모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흑백 영화 발췌 장면을 사용했다. 그루오는 세 인물에 적합한 배우로 다니엘 다리유, 장 마레, 장 가뱅을 선택했다.[7][8][9]

촬영은 프랑스 파리와 쉘레 및 모르비앙의 로고덴 제도에서 진행되었다.[10] 예산이 충분하지 않아 광범위한 스튜디오 촬영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기존 장소를 사용했지만, 종종 완전히 변형되었다.[11] 예를 들어 은행이 방송 사무실로 바뀌었다.[11]

픽션 이야기는 Laborit의 기여와 별개로 미리 촬영되었다. 이 단계에서 레네는 Laborit가 무엇을 말할지 정확히 알지 못했지만, 그가 다룰 일반적인 주제에 대해 그와 논의했었다. Laborit의 말을 나중에 추가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촬영할 때 매우 긴 숏을 사용했다. 편집자 알베르 쥐르겐송은 영화에서 편집 과정의 역할이 평소보다 더 중요하며, 다양한 요소가 너무 복잡해서 계획 단계에서 모든 것을 예측할 수 없었으며, 편집 단계에서 영화가 완전히 재구성되었다고 언급했다.[12]

영화의 에필로그에서 몽타주는, 버려지고 반쯤 철거된 뉴욕 브롱크스의 풍경을 보여주며, 건물 옆면에 그려진 녹색 나무 벽화로 절정에 달하며, 순간적인 안도감과 즐거움을 선사한다. 그 후 카메라는 일련의 숏으로 벽화에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며, 전체 이미지가 구성 요소로 분해되어 단일 벽돌 옆면에 페인트 조각만 볼 수 있게 된다. 레네는 뇌가 사물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싶었고, 무언가를 만들려는 노력과 그것을 파괴하려는 노력은 영화의 분위기에 맞는 경향인 것처럼 보였다고 설명했다.[13] 벽화는 미국의 예술가이자 환경 운동가인 앨런 손피스트(Alan Sonfist)의 "미국 숲"이었다.[14]

미술은 자크 솔니에가 담당했고, 의상은 캐서린 레터리어가 담당했다.

4. 1. 기획

알랭 레네 감독은 앙리 라보리에게 기억력 향상 제품에 대한 제약 회사의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를 함께 만들자는 제안을 받았다.[3] 이 영화는 제작되지 못했지만, 두 사람은 다큐멘터리와 픽션을 결합한 장편 영화를 만들기로 결정했다.[3] 르네는 과학적 내용이 극적으로 흥미로운 방식으로 허구적 서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라보리의 출판물을 광범위하게 읽기 시작했다.[3] 르네는 인터뷰에서 "영화나 연극은 일반적으로 등장인물이나 이야기를 통해 아이디어나 이론을 발전시키려는 욕구에서 비롯됩니다. 저는 '정반대로 하는 것도 재미있지 않을까? 이론과 허구가 화면에서 공존하도록 하는 것은 어떨까?'라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했다.[4]

시나리오 작가 장 그루오는 라보리의 모든 작품을 직접 읽고 르네와 끊임없이 논의한 뒤 허구적인 이야기를 발전시켰다.[5][3] 그 결과 라보리의 이론을 출발점으로 삼는 세 명의 허구적 인물이 각자의 방식으로 전개되는 시나리오가 완성되었다.[5][3] 시나리오를 쓰는 데는 1년이 걸렸다.[6]

르네는 또한 등장인물이 책을 읽거나 만난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는 것처럼, 유명한 영화 배우들이 구현한 행동 모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흑백으로 된 오래된 영화의 발췌 장면을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추가했다. 그루오는 세 인물에 가장 적합한 배우로 다니엘 다리유, 장 마레, 장 가뱅을 선택했다.[7][8][9]

4. 2. 시나리오

장 그루오는 앙리 라보리의 저서를 바탕으로 세 인물의 허구적 이야기를 구성했다.[5][3] 르네는 라보리에게 기억력 향상 제품에 대한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작업을 제안받았으나, 자금 지원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르네는 라보리의 출판물을 탐독하며 과학적 추론과 허구적 내러티브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론과 허구가 화면에서 공존"하는 영화를 구상했다.[4] 시나리오를 쓰는 데는 1년이 걸렸다.[6]

알랭 르네 감독은 등장인물이 유명 영화 배우의 행동 모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흑백 영화 발췌 장면을 사용했다. 그루오는 세 인물에 적합한 배우로 다니엘 다리유, 장 마레, 장 가뱅을 선택했다.[7][8][9]

4. 3. 촬영 및 편집

촬영은 프랑스 파리와 쉘레 및 모르비앙의 로고덴 제도에서 진행되었다.[10] 예산이 충분하지 않아 광범위한 스튜디오 촬영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기존 장소를 사용했지만, 종종 완전히 변형되었다.[11] 예를 들어 은행이 방송 사무실로 바뀌었다.[11]

픽션 이야기는 Laborit의 기여와 별개로 미리 촬영되었다. 이 단계에서 레네는 Laborit가 무엇을 말할지 정확히 알지 못했지만, 그가 다룰 일반적인 주제에 대해 그와 논의했었다. Laborit의 말을 나중에 추가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촬영할 때 매우 긴 숏을 사용했다. 편집자 알베르 쥐르겐송은 영화에서 편집 과정의 역할이 평소보다 더 중요하며, 다양한 요소가 너무 복잡해서 계획 단계에서 모든 것을 예측할 수 없었으며, 편집 단계에서 영화가 완전히 재구성되었다고 언급했다.[12]

영화의 에필로그에서 몽타주는, 버려지고 반쯤 철거된 뉴욕 브롱크스의 풍경을 보여주며, 건물 옆면에 그려진 녹색 나무 벽화로 절정에 달하며, 순간적인 안도감과 즐거움을 선사한다. 그 후 카메라는 일련의 숏으로 벽화에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며, 전체 이미지가 구성 요소로 분해되어 단일 벽돌 옆면에 페인트 조각만 볼 수 있게 된다. 레네는 뇌가 사물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싶었고, 무언가를 만들려는 노력과 그것을 파괴하려는 노력은 영화의 분위기에 맞는 경향인 것처럼 보였다고 설명했다.[13] 벽화는 미국의 예술가이자 환경 운동가인 앨런 손피스트(Alan Sonfist)의 "미국 숲"이었다.[14]

5. 앙리 라보리의 이론

영화에 대한 평가에서 앙리 라보리의 이론이 허구 이야기에 얼마나 잘 반영되었는지, 그리고 감독 알랭 레네가 그의 이론을 공유하고 지지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25][26] 일부에서는 라보리의 발언을 등장인물들의 행동에 대한 논평으로 묘사했지만,[27] 레네와 라보리가 같은 관점을 표현한다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주장도 있었다.[28][29]

레네는 영화가 라보리의 아이디어에 깊은 영향을 받았지만, 그것을 제시하거나 비판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6][30] 그는 라보리가 무의식에 대해 내린 정의를 매우 좋아한다고 언급하며,[31] 라보리가 영화에서 촉매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32]

레네는 관객과 함께 탐구하고 대화하는 것이 자신의 의도라고 설명했다. 그는 영화를 모순을 바탕으로 제작했으며, 관객은 등장인물들이 라보리 교수의 말을 따르고 있다고 말할 수도,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6] 각 관객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영화를 경험하고, 자신의 기억과 연상을 끌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33]

앙리 라보리 역시 영화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는 등장인물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들을 해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34] 그는 영화의 유쾌한 측면과 우주적인 면을 좋아한다고 언급했다.[34]

6. 주제

이 영화는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적인 행동 패턴, 사회적, 생물학적 결정 요인, 그리고 자유 의지의 한계 등을 탐구한다.[25][26] 영화에 대한 평가에서 허구의 이야기가 앙리 라보리 박사가 제시한 과학적 설명을 얼마나 잘 설명하려는지, 그리고 감독인 알랭 레네가 그의 이론을 공유하고 지지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25][26] 어떤 설명에서는 라보리 박사의 발언을 이야기 속 세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한 논평으로 묘사하기도 했다.[27]

레네는 영화가 라보리 박사의 아이디어에 깊은 영향을 받았지만, 그것을 제시하거나 비판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6] 레네는 등장인물들이 라보리 박사의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으며, 그의 역할을 등장인물에 대한 논평으로 생각하지도 않았다고 밝혔다.[6] 레네는 "라보리 박사의 사상이 스며든 영화이지만, 라보리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30] 그는 "생물학자도 철학자도 사회학자도 아니"라며, "이 이론들이 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라고 덧붙였다.[31]

레네는 자신의 의도가 관객과 함께 탐구하고 대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모순을 바탕으로 영화를 제작"했으며, "관객은 등장인물들이 라보리 교수의 말을 따르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6] 또한 "각 관객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영화를 경험하고, 자신의 기억과 연상을 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33]

앙리 라보리 박사 역시 영화에 대해 비슷한 어조로 말했다. 그는 "'나의 미국 삼촌'에서 제 아이디어는 등장인물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들을 해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34]

7. 평가

영화는 개봉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프랑스에서는 영화의 다양한 요소들이 만족스럽게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서로 충분한 빛을 비추지 못한다는 비판적인 의견이 있었다. 또한 인간의 행동과 사회 현상의 생물학적 결정론에 대한 과학적 주장이 '신우파'의 정치에 힘을 실어줄 반동적인 아이디어라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영국 평론에서는 유머와 재치가 넘치는 즐거운 오락이라는 호평에서부터 명백한 교훈주의와 과학과 허구의 통합 부족에 대한 회의적인 불만족까지 다양한 반응이 나타났다.

8. 수상

《내 미국 삼촌》은 1980년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와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을 수상했다.[35] 장 그루오의 각본은 제53회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오리지널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36] 1981년 프랑스 제6회 세자르 영화제에서는 최우수 작품상과 최우수 감독상을 포함해 6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지만, 두 부문 모두 프랑수아 트뤼포의 《마지막 지하철》에 밀려 수상하지 못했다.[37]

9.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참조

[1] 서적 American film distribution : the changing marketplace https://archive.org/[...] UMI Research Press
[2] 간행물 Henri Laborit and the inhibition of action https://www.ncbi.nlm[...]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2014-03
[3] 서적 Alain Resnais, arpenteur de l'imaginaire Éditions Ramsay
[4] 뉴스 How Resnais made a success with scienc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81-02-06
[5] 서적 L'Atelier d'Alain Resnais Flammarion
[6] 뉴스 A filmmaker who seeks the unlikely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81-04-26
[7] 서적 Alain Resnais, arpenteur de l'imaginaire Éditions Ramsay
[8] 서적 Mon oncle d'Amérique: scénario de Jean Gruault pour Alain Resnais précédé d'entretiens avec Alain Resnais et Henri Laborit par Madeleine Chapsal Éditions Albatros
[9] 영화 The Royalists|Les Chouans, Pleins feux sur Stanislas, The Eagle with Two Heads|L'Aigle à deux têtes, Captain Blood (1960 film)|Le Capitan, Typhon sur Nagasaki, Ruy Blas (film)|Ruy Blas, L'Homme à femmes, Mayerling (1936 film)|Mayerling, Return at Dawn|Retour à l'aube, Lady Killer (1937 film)|Gueule d'amour, The Possessors|Les Grandes Familles, They Were Five|La Belle Équipe, The President (1961 film)|Le Président, Stormy Waters (1941 film)|Remorques
[10] 웹사이트 Mon oncle d'Amérique http://cinema.encycl[...] 2020-06-03
[11] 서적 L'Atelier d'Alain Resnais Flammarion
[12] 서적 L'Atelier d'Alain Resnais Flammarion
[13] 서적 Alain Resnais: liaisons secrètes, accords vagabonds Cahiers du Cinéma
[14] 서적 Alain Resnais: liaisons secrètes, accords vagabonds Cahiers du Cinéma
[15] 웹사이트 Alain Resnais films http://www.boxoffice[...] 2020-06-05
[16] 뉴스 Resnais's continuing capacity to surprise The Times 1980-11-17
[17] 뉴스 null L'Express 1980-05-17
[18] 뉴스 null Cinématographe 1980
[19] 뉴스 null Cahiers du cinéma 1980-07
[20] 뉴스 null L'Humanité 1980-06-04
[21] 뉴스 null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20-06-09
[22] 뉴스 Resnais's imaginative parallels of human behaviour The Times 1980-09-12
[23] 뉴스 Resnais's continuing capacity to surprise The Times 1980-11-17
[24] 뉴스 null Monthly Film Bulletin 1980-12
[25] 서적 Leonard Maltin's Movie and Video Guide Penguin Books
[26] 뉴스 null Le Monde 1980-09-13
[27] 간행물 Alain Resnais's Mon oncle d'Amérique: from memory to determinism The French Review 1982-04
[28] 간행물 Six théories en quête d'auteur: qui dit 'mon' dans Mon oncle d'Amérique? The French Review 1984-05
[29] 간행물 null Sight & Sound 1980/1981
[30] 서적 Alain Resnais, arpenteur de l'imaginaire Éditions Ramsay
[31] 서적 Mon oncle d'Amérique: scénario de Jean Gruault pour Alain Resnais précédé d'entretiens avec Alain Resnais et Henri Laborit par Madeleine Chapsal Éditions Albatros
[32] 간행물 null L'Avant-scène cinéma 1961-03-01
[33] 서적 Mon oncle d'Amérique: scénario de Jean Gruault pour Alain Resnais précédé d'entretiens avec Alain Resnais et Henri Laborit par Madeleine Chapsal Éditions Albatros
[34] 서적 Mon oncle d'Amérique: scénario de Jean Gruault pour Alain Resnais précédé d'entretiens avec Alain Resnais et Henri Laborit par Madeleine Chapsal Éditions Albatros
[35]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Mon oncle d'Amérique http://www.festival-[...] 2009-05-28
[36] 웹사이트 1981|Oscars.org https://www.oscars.o[...] 2020-06-30
[37] 웹사이트 'Mon oncle d'Amérique' https://www.academie[...] Académie des arts et techniques du cinéma: César 1981 2020-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